system expert
As an eco-friendly energy system specialist, ‘PANASIA’ operates in the areas of marine
and ai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newable energy supply.
The company has grown by developing technologies as its core competencies and expanding its product lines.
Green Technology
PANASIA has become a global market leader in eco-friendly products with a competitive edge through continuous innovation.
View More +PANASIA pursues the challenge of new creation.
View More +Through continuous innovation and change, we create value and provide quality services for our customers.
View More +
PANASIA: Global hidden champion
Introducing the solutions of global no.1 PANASIA
PANASIA’s Shareholder information
View details about PANASIA’s shareholders.
PANASIA News
View the latest news and events from PANASIA.
-
유독 추웠던 2020년 연말연시, 따뜻한 온정을 이어가다. 2021-01-12
유독 추웠던 2020년 연말연시, 따뜻한 온정을 이어가다. 연일 최저기온이 경신되는 매서운 겨울한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올 겨울은 한파와 더불어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유독 더욱 힘든 연말이었는데요. 파나시아는 이번 연말을 맞아 손길이 닿지 않는 소외된 곳에 작은 힘이 되고자 총 1천 1백 60만 원 상당의 기부금과 쌀 나눔으로 주변에 따뜻한 온정을 전했고, 부산 지역의 인재육성에 이바지하기 위해 1억 원의 발전 기금을 출연해 부산대학교 발전을 지원하였습니다! l 든든한 쌀 후원 지난 2020년 12월 24일 부산 강서구청과 12월 29일 부산 남구청의 저소득 가정과 독거노인들을 위해 각 1,000kg씩 총 2,000kg의 쌀을 후원하였습니다. 이에 박재범 남구청장은 “코로나10로 이웃 간 왕래가 줄어든 시기에 소중한 도움의 손길을 주셔서 고맙다, 따뜻한 배려와 관심으로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도록 저소득층과 시설에 잘 전달하겠다”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였습니다. ▲ 가수 윤수일과 함께 24일 박재범 부산 남구청장에게 성품 전달을 하는 모습 l 연말 정기 후원 다문화가정 아동과 중증장애인 및 취약계층의 이웃들이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도록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부산 강서구 종합사회복지관과사회복지법인 진애생활복지원에 각각 200만원의 후원금을 전했습니다. ▲ (왼쪽)강서구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금을 전달하는 모습 ▲ (오른쪽)진애생활복지원에 후원금을 전달하는 모습 진애생활복지원의 박성현 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정기후원 기업들의 손길이 끊겨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따뜻한 손길이 정말 큰 힘이 되었다며 감사드린다”는 따뜻한 마음을 전하였습니다. 파나시아는 2012년부터 강서구종합사회복지관과 진애생활복지원에 정기후원을 해오고 있으며, 각 7회, 6회째 정기후원을 진행하여 매년 주변에 따뜻한 온정을 전하고 있습니다. l 사랑의 김치나눔 한마당 참여 ‘사랑의 김치나눔 한마당’은 부산광역시자원봉사센터가 주최하며 올해로 10회를 맞은 부산 최대의 김치나눔 행사인데요. 파나시아는 2017년부터 4회째 매년 임직원들이 참여하여 김치를 직접 담그고, 김장에 필요한 기부금을 후원하는 활동을 해왔습니다. ▲ (왼쪽부터) 2019년도, 2017년도 김치나눔행사에 참여한 파나시아 임직원들의 모습.올해는 코로나19의 확산을 예방하고자 김장 행사를 진행하지 않았지만, 김장에 사용될 200만원의 후원금을 전달하여 김치 완제품을 취약계층 각 가정에 배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l 부산대학교 발전기금 출연 파나시아는 우수인력 양성 및 지역사회 기여를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파나시아 대표이사 이수태 회장은 부산대학교 동문으로 지난 2019년에 5억 원의 대학 발전기금 출연을 약정하였고 매년 1억 원씩 출연하여 부산대학교 인재육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기금은 부산대 기계공학부와 공동으로 창의적인 프로젝트형 융복합 인재 육성과 첨단기술 개발을 위한 신 산학협력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학 및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연구클러스터 구축 교육 및 연구기금 조성 등에 쓰일 예정입니다. 이수태 회장은 “지역 거점대학인 부산대 인재가 수도권의 대기업이나 공기업에 집중된 현상에서 점차 벗어나 부산의 지역 산업체및 중소기업 성장에 이바지하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 (왼쪽) 부산대학교 총장에게 발전기금 출연하는 모습 앞으로도 파나시아는 다양한 나눔 봉사활동을 통하여 지역 주민들의 애로사항에 공감하고, 지역 사회 및 국가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나눔 활동을 통하여 손길이 닿기 힘든 소외된 사회에 손을 뻗고, 따뜻한 온정을 베풀어 지역과 상생하는 대표 친환경솔루션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스크러버 존재감 뚜렷… 2020-12-24
스크러버 존재감 뚜렷…"저유황유, 품질 우려 해소 안돼"올해 인도된 벌크선 47%에 스크러버 설치 올해부터 황산화물(SOx) 배출규제가 시행된 가운데 대응방안 중 배기가스 세정장치인 스크러버의 존재감이 뚜렷하다. 아직 업계는 대체연료인 저유황유에 대한 품질 우려가 완벽히 해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9일 영국 발틱국제해운거래소 BIMCO 및 외신에 따르면 올해 인도된 벌크선 중 스크러버 장착 비중이 47%에 달한다. 스크러버가 장착된 벌크선은 8만DWT(재화중량톤)급 파나막스 선형이 가장 많았다. 150척 중 무려 81척에 스크러버가 설치됐다. 선사들은 올 1월1일부터 강제화된 황산화물 배출규제를 대응하기 위해 2년전부터 스크러버 장착에 속도를 냈다. HMM은 9월말 기준 컨테이너선대 73만TEU 중 63만TEU에 스크러버를 장착, 79.1%의 설치율을 보이고 있다. 오는 2021년 인도받는 1만6000TEU급 8척에도 스크러버가 설치될 예정으로 설치율은 82.2%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HMM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에 장착된 배기가스 스크러버 세정장치. 사진/파나시아 스크러버 설치는 세계적인 추세다.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7월 2000DWT급 이상 신조선 2731척의 스크러버 설치율은 19%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현존선 설치율은 6.9%다. 이는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2018년 낸 2020년 스크러버 설치 전망치 4%, 2025년 18%보다 높은 수준이다. 스크러버를 설치하면 초기 투자비용이 들지만 용선료를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IMCO는 스크러버를 설치한 케이프 사이즈 벌크선은 설치하지 않은 선박보다 일일 용선료 수입이 약 27% 높다고 평가했다. 또 스크러버를 설치하면 기존 선박연료 고유황유(IFO 380)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8일 기준 저유황유(VLSFO) 가격은 톤당 384.5달러로 310.5달러인 고유황유보다 24% 높다. 연초에 비해 격차가 크게 줄었지만 선사는 좀 더 값싼 연료를 사용하려는 것이다. 저유황유의 품질 우려가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도 스크러버 설치율을 높이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저유황유는 아직 품질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이 없다. 제조사마다 생산 방식과 품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선사는 여전히 품질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선주는 저유황유를 사용하면 운항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며 "스크러버를 사용하면 연료유의 변화가 없으니 안전성에서 유리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
[제 57회 무역의 날] 3억불탑 주식회사 파나시아 2020-12-16
[제57회 무역의 날] 3억불탑 주식회사 파나시아●수출품목 :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선박용탈황설비 외 ●수출실적 : 3.2억불 주식회사 파나시아는 수질·대기 환경 개선 사업과 신재생에너지 공급 설비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설비 기업이다.최근 대기 환경보호를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황 함유량을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하는 것에 대비해 국내 최초로 선박용 친환경 황산화물 저감장치를 개발하고,해양생태계 교란의 주원인으로 손꼽히는 선박평형수의 처리장치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 주요 품목에 대해 국내외 250여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기술로 개발 완료한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는 시장점유율 세계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이에 힘입어 2019년의 경우, 전체 매출액 대비 직간접 수출액이 87.5%를 차지했다.3개의 현지 국외법인 외 전 세계 주요 항구지역에 서비스 대리점 37개국 49개를 운영하여 해외시장 개척 활동에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엔지니어의 국가 간 이동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현지 서비스 대리점을 활용해 시운전 및 A/S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아울러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을 통한 비대면 고객서비스를 제공하고, 온라인으로도 마케팅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김영채 기자 weeklyctrade@kita.net
-
"스크러버가 저유황유보다 훨씬 친환경적" 2020-12-08
[G-쉽스토리] "스크러버가 저유황유보다 훨씬 친환경적" 네덜란드 환경컨설팅업체 밝혀...파나시아 등 조선 기자재업체 '눈길' 네덜란트 컨설팅업체'씨이 델프트'는 저유황유가 생산과정에서 많은 co2를 배출한다고 밝혔다. 사진=씨이 델프트 스크러버(scrubber:탈황장치)가 저유황유보다 배기가스를 덜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조선·기자재업계 이목을 끌고 있다.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네덜란드 환경컨설팅 업체 ‘씨이 델프트(CE Delft)’의 최신 자료를 인용해 27일 보도했다.씨이 델프트 보고서에 따르면 저유황유를 사용하는 선박에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이 크게 늘어난 반면 스크러버는 저유황유에 비해 CO2 배출량 증가폭이 둔화됐다.이에 따라 1만8000 TEU 컨테이너선이 저유황유를 사용하면 연간 CO2 배출량이1~ 25%에 육박한 반면 스크러버의 CO2 배출량은 연간 1.5~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로이터는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가 올해 1월부터 시행되면서 조선·해운업계는 스크러버가 아니면 저유황유를 사용해야 하는 선택의 기로에 섰다며 씨이 델프트 보고서는 스크러버가 저유황유보다 훨씬 친환경적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통신은 또 유럽에서 해운업이 가장 발달한 국가는 네덜란드라며 이러한 국가적인 특성에 힘입어 씨이 델프트 같은 업체들이 선박 기자재나 원유 관련 분석자료를 종종 발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핀란드 기자재 업체 '바르질라', 한국 기자재업체 '파나시아', 에스엔시스 등은 스크러버 등 조선기자재를 생산하고 있다. 사진=각사 홈페이지 핀란드 유명 기자재 업체 바르질라 마린 시스템즈(Wärtsilä Marine Systems)의 잰 오스만(Jan Othman) 부사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씨이 델프트 보고서는 스크러버를 사용하는 것이 저유황유를 사용하는 것 보다 CO2 배출량이 적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조선 기자재업체들은 씨이 델프트 자료에 힘입어 파나시아, 에스엔시스 등 국내 기자재업체들도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특히 조선해양 친환경 설비 전문기업 파나시아(대표 이수태)는 국내외에서 첨단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2018년 스크러버 사업을 본격화 한 파나시아는 2년 만에 전세계 시장 점유율을 10%, 세계 시장 점유율 4위를 기록해 지난해 매출액이 3285억 원에 달했다.업계 관계자는 "파나시아가 스크러버 생산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신규 라인을 증설한 데 이어 인공지능(AI) 기술까지 접목했다"라며 "조선 기자재 사업의 첨단화 등 제조 혁신을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
Events
Upcoming exhibition, conference and roadshow with Panasia
Date : 2021/05/20 - 2021/05/22
location :
Date : 2021/06/01 - 2021/06/04
location :
Date : 2021/10/19 - 2021/10/22
location :
Date : 2021/12/07 - 2021/12/10
location :

PANASIA’s Services
3개의 해외법인과 49개의 해외 Service Network(37개국) 을 통해
다양한 대륙과 나라에서 파나시아의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Panasia는 해외법인 및 지침, Service Agent 및 Spares Supply Center 등의 Network를 통하여
하루 24시간, 주 7일, 1년 365일 Service를 제공하며 고객감동을 추구하고 있습니다.